본문 바로가기

잡식남의 직업 정보

손해사정사 난이도, 손해사정사 준비기간

안녕하세요! 오늘은 손해평가사 난이도와 손해평가사 준비기간에 대해서 포스팅해볼게요!

손해사정사는 보험사고 조사와 정산을 하는 전문직입니다!
예전에는 손해사정인이라고 불렀고, 보험업법이 개정되면서 손해사정사로 부르기 시작했어요


조사는 사고의 발생을 기준으로 보험 사고인지 확인하고 면부책을 판단하는 일을 뜻하며 정산은 이에 따르는 보험금을 산정하는 일을 뜻합니다. 이를 통틀어 손해사정이라 합니다.

 

 

시험 과목, 시험 과정

 

객관식 1차와 논술형 주관식 2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차와 2차 모두 40점 이하면 과락으로 불합격이며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합니다. 하지만 2차는 합격인원 기준으로 성적순으로 뽑습니다. 최저점수는 대략 47~50점 정도 이상 되어야 합격합니다.
시험 합격 후 2년 이상 경력자는 금융감독원에 관련 서류를 첨부하여 등록하면 되고 경력이 안되면 6개월의 실무수습을 거쳐야 등록할 수 있습니다.

 

2014년 시험은 처음이라 평이한 난이도로 출제되었으나 2015년 시험은 상당히 고난도로 출제되어 수험생들을 멘붕에 빠뜨리게 했습니다. 2016년 1차 시험은 36.14%의 높은 합격률이었으나 2017년 1차 시험은 개정 이후 가장 낮은 합격률인 16.74%를 기록했습니다. 보험계약법에서 2문제나 오류 판정 받았으며, 다른 과목들도 이의제기가 많을 정도로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었습니다. 

준비기간은 실무 기간을 포함하여 1년 내외로 준비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자격증 취득후 보험회사에 취업해 일하는 경우가 많으니
다들 열심히 공부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바랍니다!